ict-information-and-communication-technology-concept-on-virtual-screen-2FJY4DF

정보 통신 기술

제2차 한-튀니지-아프리카 비즈니스포럼 (정보통신기술 분야)
튀니지 공화국 대사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관련하여 튀니지 내 협력 사업 유망 분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리니, 아직까지 행사 참가를 고민하고 계시는 기업대표들께서는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국가 전략 및 협력 가능 분야

가. 튀니지의 IT 전략 및 새로운 수요

(국가디지털전략) 튀니지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는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비교적 최상위권을 점하고 있으며, 튀니지 정부는 팬데믹 상황 극복을 위해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기술적‧산업환경적 취약점을 보완하고 국가경제 발전의 실질적인 원동력(가시적 결과도출에는 아직 미흡한 수준으로 전문가들 평가)으로 활용코자 2025 국가디지털전략(별첨 참조)을 수립하였는데, 동 전략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팬데믹 상황과 같이 급변하는 현실적 수요를 단기간내에 충족시킬 수 있는 혁신디지털 기술 도입 (특히, 보 건의료 및 교육 분야)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행정시스템을 비롯한 범국가 시스템의 디지털화 완성과 이를 견인할 실효성이 입증된 방안들의 법제화

(디지털 통합 필요성 대두) 튀니지의 범국가적 디지털 통합을 위해서는, △두뇌유출현상 심화 방지 및 △(지역간‧사회계층간) 디지털 격차 해소 문제가 우선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업계 종사자들의 중론입니다. 

- 최근 현지언론 보도에 따르면 튀니지 IT 전공자들의 20% 이상이 매년 OECD 국가들로 취업 이전을 하고 있으며, 계속 심화될 것으로 전망

- UNDP 튀니지 사무소와 정보통신기술부의 최근 공동조사(전국 24개 주 대상 디지털 공공서비스 활용 지수 및 취약점 분석 결과, 2023.2.27. 발표)는 △지역간 디지털 공공서비스 활용 격차(기술적, 경제적, 문화적 격차에서 기인) 해소, △원격 의료 및 교육 서비스 확대, △소외지역으로 분류되는 중서부 내륙지역의 여성 및 농촌인구(컴퓨터문맹군)의 통합 방안 마련을 우선순위 과제로 제시

나. 투자 및 협력사업 발굴 가능 분야

(제약 분야) 튀니지는 Bio Tech 4.0사업의 일환으로 2022.10월 튀니스 소재 Sidi Thabet 의료‧제약 테크노폴 내에 Bio Tech Pole을 개소, 중소제약회사들의 약품생산공정 디지털화를 추진중입니다. 
※ 2018년 착수된 동 사업은 유럽연합‧독일개발청(GIZ)의 자금지원으로 튀니지 산업광물에너지부를 통해 시행 중

- 원격의료검진, 신속/체계적인 건강검진 시스템 구축 등에서도 협력 잠재력 존재

(AI 활용 분야)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Robotics 등의 분야에서도 튀니지 우수기업과 우리기업들간 협력사업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별첨 자료 내 InstaDeep 기업의 최근 인수합병(건)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동 R&D 사업) 튀니지의 IT 전문 테크노파크들과의 교류 및 기술단지 내 스타트업들과의 협력사업 발굴도 검토 가능한 부문입니다. 

- 테크노파크들은 IT기업 창업 및 기술지원, 산업분야간 협업 지원, 혁신 기술 주도, 외국직접투자 장려 인센티브 제공 등 역할을 수행 중이며, 특히 엘 가젤라(El Ghazela) 테크노파크에 소재한 S2T(1997.8월 북아프리카 최초 설립)는 IT 관련 연구기관, 중소기업 및 튀니지에서 활동 중인 다국적 기업들을 매칭 

- ICT Sfax Technopole, 수스 소재 Novation City 등 전문 기술단지도 다수 존재
(범분야 협력) IT를 넘어 농수산‧식품가공업, 보건의료‧제약 등 여타 산업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하는 IT 솔루션 개발도 튀니지측과 협력이 가능한 분야로 검토가 가능합니다. 

- 특히, 적은 초기자본으로 튀니지 기업과 공동 투자하고, PPP 방식으로 CDC의 지원 수혜 가능 

2. 관찰 및 전망 

정보통신기술 분야는 △양호한 산업 생태계 구축, △우수 인적자원 양성 및 △여타 산업분야 대비 강화된 투자장려책 제공 등 튀니지 정부의 노력과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부문으로, 우리 중소기업‧스타트업 포함 유관기업들과 현지 기업들간의 공동연구 및 협력사업 발굴 잠재력이 충분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특히, 높은 인건비로 IT 전문인력 구인난을 겪고 있는 우리 국내 중소기업들이나 창업 지원을 희망하는 국내 스타트업들에게 이번 행사는 튀니지 및 아프리카 시장 개척을 검토할 수 있는 유익한 현장체험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우리 기업들은 튀니지 정부가 제공하는 △혁신스타트업 생태계(튀니지 IT 특구), △정보통신 전문인력들의 창업 지원책(‘국가예금‧신탁금고’(CDC)의 재정지원 가능), △지역개발특구 투자기업들에 대한 인센티브 등의 활용 방안도 검토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